잡지식 정리 정돈

대차대조표로 본 재무 상태 변화: 현금 보유 vs. 건물 구입(현금 지급 vs. 신용구매)

대왕날치 2025. 3. 27. 22:58

재무제표를 처음 접할 때 ‘자본금’, ‘자본’, ‘자산’, ‘부채’ 등의 용어와 그 기록 방식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중 기본 공식인 “자산 = 부채 + 자본”은 회사의 재무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본금 1억 원과 이익잉여금 9억 원, 즉 총 자본 10억 원을 가진 회사가 다음 세 가지 거래를 했을 때, 대차대조표 항목들이 어떻게 기록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용어 정리

  • 자본금 (Capital Stock):
    회사 설립 시 주주가 투자한 최초 금액
    예: 1억 원
  • 자본 (Equity):
    자본금과 영업활동 등으로 벌어들인 순이익(이익잉여금)의 합
    예: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총 자본 10억 원
  • 대차대조표 기본 공식:
    자산 = 부채 + 자본

거래 사례별 재무 상태

다음 세 가지 상황에서 회사의 재무 상태는 아래와 같이 기록됩니다.

  • [현금 보유]
    자산 (현금 10억 원) = 부채 (0) + 자본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모든 금액이 통장에 현금으로 남아 있는 상태
  • [건물 구입 후 현금 지급]
    자산 (현금 1억 원 + 건물 9억 원 = 10억 원) = 부채 (0) + 자본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10억 원 중 9억 원을 현금 대신 건물로 전환하여, 현금 잔액은 1억 원이지만 총 자산은 그대로 10억 원
  • [건물 구입 후 대금 미지급 (신용구매)]
    자산 (현금 10억 원 + 건물 9억 원 = 19억 원) = 부채 (미지급금 9억 원) + 자본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건물을 신용구매하여 건물 자산이 추가되고, 대금 미지급에 따른 부채 9억 원이 발생하여 총 자산은 19억 원으로 증가

결론

동일한 순자산(총 자본 10억 원)을 가진 회사라도 거래 방식에 따라 대차대조표 상의 자산과 부채 항목은 달라집니다.

  • 현금 보유:
    모든 자산이 현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채가 없어 재무 상태가 깔끔합니다.
  • 건물 구입(현금 지급):
    현금이 건물 자산으로 전환되어 자산의 구성은 달라지지만, 부채 없이 총액은 변함없습니다.
  • 건물 구입(신용구매):
    건물 자산이 추가됨과 동시에 부채가 발생하여 총 자산은 늘어나지만, 순자산(자본)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처럼 “자산 = 부채 + 자본” 공식에 따라 각 거래가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면, 회사의 재무 상태와 자금의 출처 및 용도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대차대조표의 기본 개념과 거래별 기록 방식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