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를 처음 접할 때 ‘자본금’, ‘자본’, ‘자산’, ‘부채’ 등의 용어와 그 기록 방식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중 기본 공식인 “자산 = 부채 + 자본”은 회사의 재무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본금 1억 원과 이익잉여금 9억 원, 즉 총 자본 10억 원을 가진 회사가 다음 세 가지 거래를 했을 때, 대차대조표 항목들이 어떻게 기록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용어 정리
- 자본금 (Capital Stock):
회사 설립 시 주주가 투자한 최초 금액
예: 1억 원 - 자본 (Equity):
자본금과 영업활동 등으로 벌어들인 순이익(이익잉여금)의 합
예: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총 자본 10억 원 - 대차대조표 기본 공식:
자산 = 부채 + 자본
거래 사례별 재무 상태
다음 세 가지 상황에서 회사의 재무 상태는 아래와 같이 기록됩니다.
- [현금 보유]
자산 (현금 10억 원) = 부채 (0) + 자본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모든 금액이 통장에 현금으로 남아 있는 상태 - [건물 구입 후 현금 지급]
자산 (현금 1억 원 + 건물 9억 원 = 10억 원) = 부채 (0) + 자본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10억 원 중 9억 원을 현금 대신 건물로 전환하여, 현금 잔액은 1억 원이지만 총 자산은 그대로 10억 원 - [건물 구입 후 대금 미지급 (신용구매)]
자산 (현금 10억 원 + 건물 9억 원 = 19억 원) = 부채 (미지급금 9억 원) + 자본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건물을 신용구매하여 건물 자산이 추가되고, 대금 미지급에 따른 부채 9억 원이 발생하여 총 자산은 19억 원으로 증가
결론
동일한 순자산(총 자본 10억 원)을 가진 회사라도 거래 방식에 따라 대차대조표 상의 자산과 부채 항목은 달라집니다.
- 현금 보유:
모든 자산이 현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채가 없어 재무 상태가 깔끔합니다. - 건물 구입(현금 지급):
현금이 건물 자산으로 전환되어 자산의 구성은 달라지지만, 부채 없이 총액은 변함없습니다. - 건물 구입(신용구매):
건물 자산이 추가됨과 동시에 부채가 발생하여 총 자산은 늘어나지만, 순자산(자본)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처럼 “자산 = 부채 + 자본” 공식에 따라 각 거래가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면, 회사의 재무 상태와 자금의 출처 및 용도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대차대조표의 기본 개념과 거래별 기록 방식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잡지식 정리 정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BMW M2 쿠페 헤드램프 구성 (feat. 보증보험) (0) | 2025.04.01 |
---|---|
왜 자산은 차변이고, 부채·자본은 대변일까? (0) | 2025.03.30 |
고성능 신차의 초기 보호 모드 존재 여부 (메르세데스‑AMG, BMW M, 아우디 RS, 포르쉐) (0) | 2025.03.27 |
[A35 세단 / A45 해치백] 연식별 가변 댐퍼 적용 여부 및 주행 모드와의 연동 여부 (0) | 2025.03.27 |
기아 엔터프라이즈(1997~2002) 연식별 엔진 변화 및 트림별 특징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