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식 정리 정돈 8

2017년 BMW M2 쿠페 헤드램프 구성 (feat. 보증보험)

얼마 전 입양해 온 M2 차량. 우측 헤드램프가 왔다리 갔다리 하더라. LED 전구나 HID 벌브등은 소모품으로 취급되어 보증불가인 반면, HID 안정기나 배선 등은 보장 가능성이 높아 어느 부분인지가 중요하다. 보증보험 대상인지 확인 차 전조등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았다. 국내 정식 출시된 2017년형 BMW M2 쿠페(F87)의 헤드램프는 전형적인 BMW 트윈 원형 헤드라이트 디자인을 따르며, 바이-제논 HID 프로젝터와 LED 주간주행등(DRL)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Official Photos of BMW M2 LCI Facelift - Page 26). 각 기능별 배치와 광원(발광체) 종류, 그리고 어댑티브 기능과 옵션에 따른 차이를 아래 항목별로 정리합니다:하향등(로우빔) / 상향..

왜 자산은 차변이고, 부채·자본은 대변일까?

아래 내용은 처음 회계를 배우는 초보자들에게,“왜 자산이 증가하면 차변에 쓰고, 부채나 자본이 증가하면 대변에 쓰는지”그 개념적 의미를 최대한 쉽게 설명한 자료입니다.표와 함께, 개념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1. 회계의 출발점: “자산 = 부채 + 자본” 등식회계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등식은 다음과 같아요.자산(Assets) = 부채(Liabilities) + 자본(Equity)자산: 회사가 ‘가지고 있는 것(현금, 건물, 재고자산 등)’부채: 회사가 ‘외부에 갚아야 할 빚(대출금, 외상매입금 등)’자본: 회사의 ‘자기자본(투자금, 누적이익 등)’이 등식은 항상 성립해야 합니다. 즉,왼쪽(자산)이 변화하면, 오른쪽(부채+자본)도 똑같은 금액만큼 변화해야 하고오른쪽이 변화하면, 왼쪽도 똑같이 변화해야 합니..

대차대조표로 본 재무 상태 변화: 현금 보유 vs. 건물 구입(현금 지급 vs. 신용구매)

재무제표를 처음 접할 때 ‘자본금’, ‘자본’, ‘자산’, ‘부채’ 등의 용어와 그 기록 방식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그중 기본 공식인 “자산 = 부채 + 자본”은 회사의 재무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원칙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자본금 1억 원과 이익잉여금 9억 원, 즉 총 자본 10억 원을 가진 회사가 다음 세 가지 거래를 했을 때, 대차대조표 항목들이 어떻게 기록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기본 용어 정리자본금 (Capital Stock):회사 설립 시 주주가 투자한 최초 금액예: 1억 원자본 (Equity):자본금과 영업활동 등으로 벌어들인 순이익(이익잉여금)의 합예: 자본금 1억 원 + 이익잉여금 9억 원 = 총 자본 10억 원대차대조표 기본 공식:자산 = 부채 + 자본거래 사례별 재무 상태..

고성능 신차의 초기 보호 모드 존재 여부 (메르세데스‑AMG, BMW M, 아우디 RS, 포르쉐)

고성능 차량을 새로 출고하면 제조사가 권장하는 엔진 길들이기(브레이크인) 기간이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운전자가 무리한 주행을 피하도록 안내하는데, 차량의 전자제어 시스템(ECU/소프트웨어)이 자동으로 주행 성능을 제한하는 보호 모드를 거는 경우도 있는지 브랜드별로 조사해 보았습니다. 특히 메르세데스‑AMG, BMW M, 아우디 RS, 포르쉐 차량에서 출력, RPM, 최고속도, 런치 컨트롤(급발진), 레이스/드리프트 모드 등의 기능이 신차 초기 일정 주행거리까지 자동으로 제한되는지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각 브랜드별로 해당 보호 모드의 존재 여부, 작동 조건과 제한 내용, 해제 시점,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공식 매뉴얼/딜러 문서나 엔지니어・오너 증언을 정리합니다.메르세데스‑AMG의 신차 보호 모드1. ..

[A35 세단 / A45 해치백] 연식별 가변 댐퍼 적용 여부 및 주행 모드와의 연동 여부

A35 AMG 세단과 A45 AMG 해치백 차량의 연식별로 가변 댐퍼(Adaptive Damping System) 적용 여부와, 운전자가 드라이브 모드를 변경했을 때 댐퍼 특성까지 연동해 조절되는지도 확인해 보았습니다.A35 세단: 2019년형부터 출시된 AMG 모델A45 해치백: 2013년형(1세대, W176)부터 존재하며, 2019년형(2세대, W177)부터 A45/A45 S로 구분한국 시장 기준 중심가변 댐퍼를 장착했을 경우, 대부분 AMG DYNAMIC SELECT(주행 모드) 변경 시 댐핑(감쇠력)도 자동으로 연동 조절됨A35 AMG 세단 & A45 해치백 (한국 사양 기준)연식A35 AMG 세단가변 댐퍼(한국)A35 AMG 세단주행 모드 - 댐핑감쇄력연동 여부 A45 해치백가변 댐퍼(한국) ..

기아 엔터프라이즈(1997~2002) 연식별 엔진 변화 및 트림별 특징

연식배기량엔진 제조사엔진 형식비고19972.5ℓ마쓰다J5 V6초기 엔진 3.0ℓ마쓰다JE V6초기 엔진 3.6ℓ기아기아 V6독자 개발 엔진19982.5ℓ마쓰다J5 V6변동 없음 3.0ℓ마쓰다JE V6변동 없음 3.6ℓ기아기아 V6변동 없음19992.5ℓ마쓰다J5 V6변동 없음 3.0ℓ마쓰다JE V6변동 없음 3.6ℓ기아기아 V6변동 없음20002.5ℓ로버KV6 V6신규 적용 3.0ℓ마쓰다JE V6기존 엔진 유지 3.6ℓ기아기아 V6기존 엔진 유지20012.5ℓ로버KV6 V6유지 3.0ℓ마쓰다JE V6유지 3.6ℓ기아기아 V6환경 규제로 단종20022.5ℓ로버KV6 V6유지 (단종 시까지) 3.0ℓ마쓰다JE V6유지 (단종 시까지) 3.6ℓ--단종 상태1997년: 출시와 초기 엔진 구성기아 엔터프라이즈는 ..

기아 엔터프라이즈 로버 엔진 장점과 단점

기아 엔터프라이즈는 기아자동차가 1997년 출시한 당시 최고급 후륜구동 세단으로, 엔진 라인업에 2.5L/3.0L/3.6L V6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중 2.5리터 V6 엔진은 초기에는 마쓰다제 엔진을 사용하다가 이후 영국 로버(Rover)의 KV6 엔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는 기아차가 로버와 V6 엔진을 공동 개발한 결과로, 1994년 기아가 로버 신형 V6 엔진 개발 비용을 부담하며 기술 제휴를 맺어 해당 엔진의 공동 특허권과 사용 권리를 확보했기 때문입니다 ([차갑고도 뜨거운 심장, 엔진]로버 KV6 엔진 | 모토야). 다시 말해, 기아는 마쓰다 의존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V6 엔진..

윈도우 절전 모드 종류별 특성

Windows 명령어 powercfg -a 는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절전 모드 및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다음은 powercfg -a 명령의 결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절전 모드와 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powercfg -a 명령어의 출력 (예시)다음 절전 상태가 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대기(S3) 최대 절전 모드 빠른 시작다음 절전 상태가 이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기(S1) 대기(S2) 대기(S0 저전력 유휴) 하이브리드 절전📌 표시되는 모드 및 상태별 상세 설명1. 대기 모드 (Sleep Mode)대기 모드는 시스템의 현재 작업 환경을 메모리에 유지한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줄여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