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식 | 배기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형식 | 비고 |
1997 | 2.5ℓ | 마쓰다 | J5 V6 | 초기 엔진 |
3.0ℓ | 마쓰다 | JE V6 | 초기 엔진 | |
3.6ℓ | 기아 | 기아 V6 | 독자 개발 엔진 | |
1998 | 2.5ℓ | 마쓰다 | J5 V6 | 변동 없음 |
3.0ℓ | 마쓰다 | JE V6 | 변동 없음 | |
3.6ℓ | 기아 | 기아 V6 | 변동 없음 | |
1999 | 2.5ℓ | 마쓰다 | J5 V6 | 변동 없음 |
3.0ℓ | 마쓰다 | JE V6 | 변동 없음 | |
3.6ℓ | 기아 | 기아 V6 | 변동 없음 | |
2000 | 2.5ℓ | 로버 | KV6 V6 | 신규 적용 |
3.0ℓ | 마쓰다 | JE V6 | 기존 엔진 유지 | |
3.6ℓ | 기아 | 기아 V6 | 기존 엔진 유지 | |
2001 | 2.5ℓ | 로버 | KV6 V6 | 유지 |
3.0ℓ | 마쓰다 | JE V6 | 유지 | |
3.6ℓ | 기아 | 기아 V6 | 환경 규제로 단종 | |
2002 | 2.5ℓ | 로버 | KV6 V6 | 유지 (단종 시까지) |
3.0ℓ | 마쓰다 | JE V6 | 유지 (단종 시까지) | |
3.6ℓ | - | - | 단종 상태 |
1997년: 출시와 초기 엔진 구성
기아 엔터프라이즈는 1997년 3월 28일 출시된 후륜구동 대형 세단으로, 마쓰다 센티아 기반의 플랫폼을 사용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시 당시 엔진 라인업은 V6 3가지로 국산 승용차 최대 수준이었습니다: 2.5ℓ, 3.0ℓ, 3.6ℓ DOHC 가솔린 엔진입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5ℓ와 3.0ℓ 엔진은 마쓰다의 J5 (2.5)와 JE (3.0) V6 엔진을 한국형으로 개량하여 사용했고, 3.6ℓ V6 엔진은 기아가 독자 개발한 국내 최초 3.6리터급 엔진이었습니다 (Boards - 엔터프라이즈.. 그리고 나의 꿈..) ([특별했던차]기아 엔터프라이즈 | 모토야). 특히 3.6ℓ 엔진은 최고출력 220마력을 발휘하여 당시 대한민국 승용차 중 최고의 성능과 230km/h의 최고속도를 자랑했습니다 ([특별했던차]기아 엔터프라이즈 | 모토야).
트림 구성 및 차이: 초기 트림은 배기량별로 나뉘어 2.5 DLX (기본형), 2.5 SL (고급형), 3.0 SL (고급형)과 3.6 CEO (최고급형) 등이 있었으며, 상위 트림일수록 편의사양이 추가되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본형인 2.5 DLX부터 자동 에어컨, 속도감응형 파워스티어링(틸트 기능 포함), ABS, 듀얼 에어백, 전자동 풋파킹 브레이크 해제, 운전석/뒷좌석 파워시트, 오디오 리모컨 등 고급 사양을 갖췄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5 SL 트림에는 여기에 전후방 코너 센서(주차 보조), 운전석 이지 액세스, 천연 가죽 시트가 추가되고, 뒷좌석 암레스트 오디오 리모컨과 조수석 파워시트 등의 옵션도 기본화되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0 SL 트림은 3.0ℓ 엔진을 탑재하고 대부분의 고급 편의사양을 갖춰 출시되었는데, 2.5 SL의 사양 외에 좌석 열선, 공기청정기, VIP석(뒷좌석) 전동 안마 시트, 뒷좌석 냉장고까지 갖춘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고급 모델인 3.6 CEO 트림에는 3.6ℓ 엔진과 함께 파인향을 입힌 천연 가죽시트와 크롬 도금 알루미늄 휠을 적용하여 최고의 품격을 갖추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참고: 3.0 Summit 트림은 초기에 없었고 이후 연식 변경時 추가되었습니다.)
1998년: 변경 없이 지속 생산
엔터프라이즈는 출시 이듬해인 1998년 한 해 동안 별다른 변경점 없이 동일한 엔진 구성과 트림으로 판매를 이어갔습니다 (기아 슈프리머시 22화 - 명가(名家)의 꿈은 저 멀리에: 기아 엔터프라이즈). 2.5ℓ(마쓰다 V6), 3.0ℓ, 3.6ℓ DOHC 엔진 라인업과 각 트림의 사양은 전년도와 동일했습니다. (당시 기아자동차는 외환위기 여파로 경영 위기였으나, 엔터프라이즈는 소량이나마 꾸준히 생산되었습니다.)
1999년: 기존 엔진 유지 (마쓰다 V6 계속 적용)
1999년에도 엔진 측면의 변화는 없었고, 엔터프라이즈는 여전히 2.5ℓ(마쓰다제), 3.0ℓ, 3.6ℓ V6 엔진을 그대로 탑재했습니다. 다만 국산 대형차 시장 경쟁이 심화된 해로, 1997년 말 쌍용 체어맨에 이어 1999년에는 현대 에쿠스까지 출시되면서 엔터프라이즈의 입지가 좁아졌습니다 ([특별했던차]기아 엔터프라이즈 | 모토야). 엔진과 성능 면에서는 경쟁차에 뒤지지 않았지만, 이 시기까지도 2.5ℓ 모델은 여전히 마쓰다 J5 엔진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로버 V6 도입은 다음 해에 이루어집니다.)
2000년: 2.5ℓ 엔진을 로버 KV6로 변경
2000년형 엔터프라이즈가 2000년 3월 출시되면서 드디어 파워트레인에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때 신형 V6 엔진으로 불린 영국 로버사의 2.5ℓ KV6 엔진이 도입되어, 기존 2.5ℓ 마쓰다 V6를 대체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아차, 2000년형 엔터프라이즈 출시 | 한국경제). KV6 엔진은 알루미늄 블록 기반의 첨단 V6로, 기존 엔진 대비 컴팩트하고 경량화된 것이 특징입니다. 실제로 2.5ℓ 모델의 엔진 교체로 차량 중량이 약 40kg 줄어들었다고 전해지며 (기아 슈프리머시 22화 - 명가(名家)의 꿈은 저 멀리에: 기아 엔터프라이즈), 출력은 약 170마력대로 유사하지만 연비 및 정숙성이 향상되었습니다. 이로써 엔터프라이즈의 2.5ℓ 모델은 2000년부터 2002년 단종 시점까지 로버에서 설계한 KV6 엔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편 3.0ℓ V6 엔진은 여전히 기존 마쓰다계 엔진(약 205마력급)을 사용했고, 3.6ℓ V6도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엔진 업그레이드와 함께 트림 구성에도 소폭 변화가 있었습니다. 2000년형에서 기존 3.0 SL보다 높은 사양의 3.0 Summit 트림이 신설되었는데, 뒷좌석 전동 안마시트 등 VIP 편의기능을 강화한 최고급 3.0 모델입니다 (기아차, 2000년형 엔터프라이즈 출시 | 한국경제). 3.0 Summit에는 3.0 SL의 대부분 사양에 더해 앞서 언급된 전자제어 서스펜션(ADS)과 고급 AV 시스템 등이 적용되어 3.0 모델 중 최상위로 포지셔닝되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5ℓ 모델들은 DLX/SL 트림 체계를 유지하되 새로운 KV6 엔진 적용 외에는 사양 변화가 크지 않았습니다. 3.6ℓ CEO 트림은 여전히 엔터프라이즈 라인업의 최상위로 자리했으며, 엔진 변경 없이 지속되었습니다.
2001년: 마이너 체인지와 배출가스 규제 대비
2001년 6월, 엔터프라이즈는 소폭의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습니다. 차량 전면의 봉황 엠블럼 대신 기아의 새로운 원형 K 로고 엠블럼이 적용되었고, 내장재 색상 및 외장 디테일이 일부 개선되었습니다 ([특별했던차]기아 엔터프라이즈 | 모토야). 편의사양 면에서는 큰 변경은 없었으나, 기존 최고급 이미지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한편 이 시기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로 인해 엔터프라이즈의 파워트레인 구성에도 영향이 생겼습니다 ([특별했던차]기아 엔터프라이즈 | 모토야). 가장 배기량이 컸던 3.6ℓ V6 엔진이 강화된 환경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먼저 단종되었고, 2001년 이후로는 사실상 3.6 CEO 모델이 판매 종료되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 결과 2001년 이후 엔터프라이즈는 2.5ℓ KV6 엔진 모델들과 3.0ℓ 모델 위주로 판매되었으며, 3.6ℓ를 제외한 나머지 트림들은 계속 생산되었습니다. (당시 에쿠스 3.5, 체어맨 3.2 등 경쟁차들도 새 규제에 맞춰 엔진 변경이 이루어지는 시기였습니다.) 엔터프라이즈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이 해까지 기함 자리를 지켰지만, 판매량은 미미했습니다.
2002년: 최종 연식 및 단종
2002년에는 2.5ℓ(로버 KV6)와 3.0ℓ V6 엔진 사양으로만 생산되었고, 더 이상 3.6ℓ 모델은 없습니다. 결국 지속된 판매 부진과 배출가스 규제 충족 실패로 **2002년 10월 엔터프라이즈의 생산이 최종 중단(단종)**되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약 5년간의 짧은 생을 마감한 엔터프라이즈 이후, 기아는 2012년 K9이 나오기 전까지 후륜구동 플래그십 세단 공백을 겪게 되었고, 그 사이에는 전륜구동 오피러스 등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특별했던차]기아 엔터프라이즈 | 모토야). 로버 KV6 엔진은 2000년 도입되어 2002년 단종까지 엔터프라이즈의 2.5ℓ 모델에 지속 적용되었으며, 이후 기아의 차종에서 해당 엔진이 쓰이는 일은 없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의 모든 트림은 2002년 단종 시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지만, 강화된 환경 기준을 더 이상 충족시키지 못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ources: 기아 엔터프라이즈 한국어 위키백과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아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토야 자동차 역사 기사 ([특별했던차]기아 엔터프라이즈 | 모토야) ([특별했던차]기아 엔터프라이즈 | 모토야); 한국경제 뉴스 보도 (기아차, 2000년형 엔터프라이즈 출시 | 한국경제) (기아차, 2000년형 엔터프라이즈 출시 | 한국경제); 팀테스트드라이브 게시글 (Boards - 엔터프라이즈.. 그리고 나의 꿈..) 등.
'잡지식 정리 정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차대조표로 본 재무 상태 변화: 현금 보유 vs. 건물 구입(현금 지급 vs. 신용구매) (0) | 2025.03.27 |
---|---|
고성능 신차의 초기 보호 모드 존재 여부 (메르세데스‑AMG, BMW M, 아우디 RS, 포르쉐) (1) | 2025.03.27 |
[A35 세단 / A45 해치백] 연식별 가변 댐퍼 적용 여부 및 주행 모드와의 연동 여부 (0) | 2025.03.27 |
기아 엔터프라이즈 로버 엔진 장점과 단점 (0) | 2025.03.23 |
윈도우 절전 모드 종류별 특성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