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 트림(세부) 체계 | 파워트레인 / 변속기 | 핵심 변화 및 특징 |
2009 | VS380 럭셔리·프라임·프레스티지, VS460 프레스티지 리무진 VL380·VL500 프레스티지 | 3.8 V6 MPI 4.6 V8 MPI 6‑단 자동 |
2 세대(VI) 완전 신형 출시·VIP 패키지, PSB·LDWS 등 첨단 안전장비 최초 탑재 |
2010 | 동일 (VS380 3 트림 + VS460 + 리무진) | 동일 | 연식 변경: DIS 내비 선택폭 확대·급제동 경보등 등 안전/편의 사양 일부 기본화 |
2011 | VS380 럭셔리·프라임·프레스티지, VS500 프레스티지 리무진 VL380·VL500 프레스티지 | ■ 3.8 GDi 334 ps ■ 5.0 GDi 430 ps신형 8‑단 자동 |
직분사 GDi + 8‑단 미션 도입·무릎 에어백 등 전 트림 안전사양 강화 |
2012 | 2011년 체계 유지 | 동일 | 부분변경 준비기… 사양·트림 유지, 가격(개소세) 조정 등 |
2013 | VS380 모던·프리미엄·익스클루시브·프레스티지, VS500 프레스티지 리무진 VL380·VL500 프레스티지 | 3.8 GDi / 5.0 GDi + 8‑단 | 페이스리프트: 전·후면 LED, 수평형 인테리어, HUD·ASCC·BSD 등 첨단 장비 대거 적용 |
2014 | 2013년 체계 유지 | 동일 | 페이스리프트 지속 판매, 일부 옵션 기본화·블루링크 서비스 확대 |
2015 | 동일 (모던~프레스티지, 5.0 프레스티지) | 동일 (3.8 334 ps / 5.0 430 ps) | 최종 연식: 9.2″ 내비·블루링크 2.0·스마트 트렁크 전 트림 기본, 나파 가죽·세로형 크롬 그릴로 고급감↑ |
* 트림 표기는 각 연도 국내 공식 카탈로그 기준.
2009년: 2세대 신형 에쿠스 출시 (VI)
트림 구성: 2009년 3월 출시된 2세대 에쿠스는 3.8L V6 람다 MPI 엔진(약 290마력)과 4.6L V8 타우 MPI 엔진(366마력)을 탑재한 후륜구동 대형 세단으로 등장했습니다 (카이즈유 - 새로운 자동차 문화의 시작 ). 기본 wheelbase 모델인 VS380 (3.8 V6)과 VS460 (4.6 V8), 그리고 롱휠베이스 모델인 에쿠스 리무진(VL380 3.8 V6, VL500 5.0 V8)으로 나뉘었으며, 세부 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 VL500 리무진 모델에는 당시 5.0L V8 엔진(약 400마력)이 최초 적용되었습니다.)
- VS380 럭셔리 – 3.8 V6 엔진+6단 자동변속기 기반의 기본 트림. HID 프로젝션 헤드램프, 17인치 알로이 휠, LED 리어콤비램프 등의 외장 사양과 가죽 시트, 우드그레인 내장 등을 갖추었습니다. 안전/편의 사양으로 ABS 및 VDC, 앞좌석/커튼 에어백, 스마트 키, 이모빌라이저, 파워도어 및 트렁크,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 등이 기본 적용되었습니다 (카이즈유 - 새로운 자동차 문화의 시작 ). 또한 뒷좌석 전동커튼과 고급 오디오(하만 Lexicon LOGIC7 서라운드, 17스피커)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 VS380 프라임 – 럭셔리 트림의 주요 사양에 추가로 18인치 크롬 휠과 전동식 뒷좌석 사이드 커튼, DIS(운전자 정보 시스템) 내비게이션, Lexicon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등 편의사양이 강화된 등급입니다. 뒷좌석 냉난방 통풍시트와 어댑티브 헤드램프(AFLS) 등의 고급 사양도 이 트림부터 적용되었습니다.
- VS380 프레스티지 – 프라임 대비 더욱 향상된 최고급 등급으로, 전좌석 프리미엄 가죽 시트와 우드 내장, 뒷좌석 전동식 풋레스트, 뒷좌석 VIP 컨트롤 콘솔, 차량자세제어장치(VDC) 등 최상급 편의·안전사양이 포함되었습니다. 차선이탈경보 시스템(LDWS), 프리세이프 시트벨트(PSB) 등의 첨단 안전장치도 적용되었습니다 (카이즈유 - 새로운 자동차 문화의 시작 ). 또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과 후방 주차 가이드 시스템(PGS) 등도 선택 또는 기본으로 운영되었습니다 (카이즈유 - 새로운 자동차 문화의 시작 ).
- VS460 프레스티지 – 4.6 V8 엔진이 장착된 모델로, VS380 프레스티지에 V8 파워트레인과 일부 추가 사양을 더한 최상위 세단입니다. 19인치 크롬 휠과 전동식 뒷좌석 좌우 독립 시트, 뒷좌석 냉장고 등의 최고급 옵션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엔진 성능을 강조하기 위해 V8 모델 전용 수직형 라디에터 그릴이 적용되었습니다.
- 에쿠스 리무진 VL380 프레스티지 – 3.8 V6 기반의 롱휠베이스 모델입니다. 기본 휠베이스 모델의 프레스티지 사양에 + △리무진 전용: 전장 300mm 연장(뒷좌석 레그룸 확대), 리무진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 후석 목베개, 뒷좌석 발받침, 뒷좌석 냉장고 등 최고급 의전 사양이 기본 적용되었습니다. 옵션으로 퍼스트 클래스 VIP 시트(뒷좌석 좌석 하나를 접이식 테이블과 다리 받침이 포함된 항공기 일등석형 좌석으로 구성) 선택이 가능했습니다 (약 400만원 추가).
- 에쿠스 리무진 VL500 프레스티지 – 5.0 V8 엔진이 장착된 리무진 최상위 모델입니다. 후륜구동 V8 5.0 Tau 엔진(출력 약 400ps)과 18인치 휠이 적용되었으며, 나머지 사양은 VL380 프레스티지와 유사합니다. 역시 퍼스트 클래스 VIP 시트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변경 사항: 2009년은 2세대 에쿠스 출시 원년으로, 이전 세대 대비 후륜구동 플랫폼 적용, 신규 람다/타우 엔진, 그리고 세계 최초 기술인 프리세이프 시트벨트(PSB)와 차선이탈경보(LDWS), 후방 주차가이드 시스템(PGS) 등의 최첨단 안전편의장치가 대거 도입되었습니다 (카이즈유 - 새로운 자동차 문화의 시작 ). 트림 구성은 럭셔리→프라임→프레스티지로 이어지는 3.8 모델들과 V8 단일 트림, 그리고 리무진으로 체계화되었습니다.
2010년: 연식 유지 및 일부 옵션 조정
트림 구성: 2010년형 에쿠스의 등급 체계는 VS380 (럭셔리/프라임/프레스티지), VS460 (프레스티지) 및 리무진(VL380/VL500 프레스티지)로 2009년과 동일하게 유지되었습니다. 큰 디자인 변화나 신규 트림 없이 기존 사양을 이어받았으며, 세부 옵션 구성에 약간의 조정이 있었습니다.
- 주요 사양 변화: 2010년형에서는 기본적으로 2009년형의 사양을 계승하면서 일부 편의사양이 보강되었습니다. 전 트림에 걸쳐 터치식 스마트키 기능이 개선되고,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 조수석 워크인 스위치 추가 등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변경이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DIS 내비게이션이 고객 요청에 따라 일부 트림(럭셔리)에서도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등 트림별 옵션 선택폭이 넓어졌습니다.
변경 사항: 2010년에는 풀체인지 후 1년차 모델로서 외관/내관 디자인이나 파워트레인 변화는 없었고, 트림 구조도 동일했습니다. 다만 연식 변경을 통해 세부 옵션 구성(예: 내비게이션 패키지 선택 가능 여부 등)이 개선되고, 몇 가지 편의장비가 기본화되었습니다 (예: 급제동 경보등,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 등 일부 안전사양 기본 적용). 전체적으로는 2009년형의 상품성을 유지한 채 소폭의 상품성 향상이 이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11년: GDi 엔진 및 8단 변속기 도입 (2012년형 사전출시)
트림 구성: 2011년 초에 선보인 2012년형 에쿠스는 기존 트림 체계를 유지하면서 파워트레인과 주요 사양이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따라서 VS380(V6) 라인업은 여전히 럭셔리 – 프라임 – 프레스티지 세 가지 등급으로 운영되었고, V8 모델은 기존 VS460을 대체하는 VS500 프레스티지로 변경되었습니다. 롱휠베이스 리무진도 VL380/VL500 프레스티지 체계를 유지했습니다.
- 파워트레인 개선: 2011년 5월부터 3.8 모델은 기존 MPI에서 람다 3.8 GDi 직분사 엔진(최고출력 334마력)으로 변경되었고, 6단 자동에서 신형 후륜 8단 자동변속기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강심장 5.0 GDI 엔진 단 에쿠스 나왔다···430마력 | 한국경제). V8 모델은 4.6 타우 엔진이 단종되고 5.0리터 타우 GDi 엔진(최고출력 430마력)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동급 최고의 동력 성능과 연비 개선이 이루어져, 3.8 모델 연비는 약 9.7km/ℓ로 향상되었습니다.
- 주요 사양 업그레이드: 첨단 안전편의사양이 대거 기본화되었습니다. 전 트림에 운전석 무릎에어백이 추가되었고, 타이어 공기압경보장치(TPMS)와 18인치 타이어가 기본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인텔리전트 가속 페달(위험 상황 시 페달 진동 알림 및 경제운전 시 반발력 제공 기능)이 세계 최초로 적용되었고, 운전석 마사지 시트와 동승석 전동 높이조절 기능도 도입되었습니다. 이 외에 개선된 전자제어 에어 서스펜션, 주행모드 선택(ECO/스포츠 모드) 기능 등도 적용되어 승차감과 주행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
- 편의장비 변화: 프레스티지 트림의 경우 기존 VIP 패키지 I/II 옵션 대신 단일 VIP 패키지로 통합되어 운영되었으며, 내용에는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모니터, 뒷좌석 목베개 및 좌우 독립시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등 최고급 옵션이 포함되었습니다. 리무진 모델의 퍼스트 클래스 VIP석 옵션도 지속 제공되었습니다 (리무진의 경우 여전히 선택사양).
변경 사항: 2011년형 에쿠스(실질적으로 2012년형 모델)는 직분사 GDi 엔진과 8단 미션 도입이 가장 큰 변화로, 이를 통해 출력과 연비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무릎에어백, 전방 충돌경고(인텔리전트 페달) 등의 첨단사양이 기본 추가되는 등 상품성이 강화되었습니다. 외관상의 변화나 실내 디자인 변화는 없었으나, V8 모델명이 VS460→VS500으로 변경되고 배기량 5.0로 통일된 점이 특징입니다. 기존 트림 간 주요 차별 요소는 유지되면서 일부 최상위 옵션이 패키지로 통합되는 등 등급 구성의 단순화가 이루어졌습니다.
2012년: 2012년형 지속 판매
트림 구성: 2012년에는 2011년 도입된 GDi 엔진 사양의 에쿠스가 연중 계속 판매되었습니다. 트림 체계(럭셔리/프라임/프레스티지 및 VS500, 리무진)와 주요 사양은 2011년 출시된 2012년형과 동일했습니다. 2012년 중반까지 별도의 디자인 변경이나 등급 개편 없이 안정적으로 판매되었으며, 다음 연식변경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었습니다.
- 주요 사항: 2012년형 에쿠스는 이미 GDi 엔진과 첨단사양을 갖춘 상태였으므로 별도 추가 변경점은 없었고, 기존 사양 유지에 집중했습니다. 다만 2012년 3월경 개별소비세 인하(FTA 협정 영향) 반영으로 가격이 소폭 조정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또한 일부 선택사양의 조정(예: 어라운드뷰 모니터링 시스템이 딜러 설치 옵션으로 제공) 등이 이루어졌으나, 전반적인 차량 사양은 2011년형과 동일했습니다.
변경 사항: 2012년은 부분변경 직전의 해로서, 큰 변화 없이 기존 모델을 지속 판매한 시기입니다. 이에 따라 등급 구성과 사양은 전년과 같았으며, 하반기에 예정된 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를 위한 마무리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2013년: 에쿠스 페이스리프트 (신형 디자인 & 사양 개선)
트림 구성: 2012년 11월에 공개되어 2013년형으로 판매된 부분변경(New Equus) 모델은 내외장 디자인 변화와 등급명 개편이 이루어졌습니다. 엔진과 플랫폼은 동일하지만 튜닝이 개선되었고 출력 향상이 있었습니다. 새 트림명은 VS380의 경우 모던(Modern) → 프리미엄(Premium) → 익스클루시브(Exclusive) → 프레스티지(Prestige)로 재편되었고, V8 모델은 VS500 프레스티지로 유지되었습니다. 에쿠스 리무진도 VL380 프레스티지, VL500 프레스티지 체계를 이어갔습니다. 아래는 2013년형 주요 트림별 특징입니다:
- VS380 모던 (Modern) – 3.8 GDi 기본 모델로, 신규 적용된 수평형 인테리어 레이아웃과 아날로그 시계, 천연 가죽 도어트림 등 변경된 실내 디자인을 공유합니다. 18인치 휠과 LED 안개등 및 LED 리어콤비램프가 적용되었으며, DIS 내비게이션(터치스크린+컨트롤러)이 옵션으로 제공되었습니다. 기본 편의사양으로 전자식 변속레버(Shift by Wire), 전동식 후면 커튼, 전후방 주차센서, 후방 카메라 등이 포함됩니다. 안전사양으로 차체자세제어(VDC), 9 에어백(앞좌석 무릎에어백 포함), 급제동경보 등이 기본 적용되었습니다. (기존 “럭셔리”에 대응하는 트림)
- VS380 프리미엄 (Premium) – 모던 대비 대형 LCD 내비게이션(DIS) 및 17스피커 Lexicon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이 기본 적용된 중간 트림입니다. 전동 틸트&텔레스코픽 스티어링 휠, 앞좌석 통풍시트, 뒷좌석 측면 수동 커튼, 전후방 블랙박스(딜러옵션) 등의 편의사양이 추가됩니다. 또한 드라이버 어시스트 패키지(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차량 통합제어 AVSM 등)를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여 안전사양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VS380 익스클루시브 (Exclusive) – 프리미엄 대비 첨단 안전장비와 뒷좌석 편의장비가 대폭 추가된 고급 트림입니다.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과 후측방 경보시스템(BSD), 차량통합제어 시스템(AVSM) 등이 적용되어 능동안전성이 향상되었고, 뒷좌석 전동식 사이드 커튼과 후석 냉난방 통풍시트, 전동식 풋레스트 등 뒷좌석 편의사양도 강화되었습니다. 계기판은 12.3인치 컬러 TFT LCD 클러스터로 업그레이드되어 다양한 주행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존 프레스티지에 가까운 사양 수준)
- VS380 프레스티지 (Prestige) – 3.8 모델의 최고급 트림으로, 전 사양을 풀옵션으로 갖춘 플래그십 등급입니다. 익스클루시브 사양에 더해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전자식 거치형 스마트 카드키, 뒷좌석 듀얼 모니터 RSE(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뒷좌석 센터 콘솔 냉장고 등이 적용되었습니다. 실내는 최고급 나파가죽 시트와 리얼 우드 트림으로 마감되었고, 외장은 전용 크롬 라디에이터 그릴과 LED 주간주행등(DRL)로 차별화되었습니다. 안전면에서는 전방 충돌경고 및 자동제동(AEBS) 기능과 차량간 거리유지 제어 등이 포함되어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했습니다.
- VS500 프레스티지 (5.0 V8) – 5.0 GDi V8 엔진(부분변경 후 출력 약 416마력)을 장착한 최상위 세단 모델입니다. 8단 자동과 후륜구동 구동계는 같으며, 사양은 VS380 프레스티지와 거의 동일하나 엔진 성능 향상에 따른 후륜 에어서스펜션 보정 튜닝 등 주행관련 세팅이 조금 다릅니다. 외관에서는 V8 엠블럼과 전용 듀얼 머플러 팁이 적용되며, 연비는 5.0 모델 기준 복합 8.1 km/ℓ로 3.8 모델 대비 약간 낮습니다.
- 에쿠스 리무진 (VL380/VL500 프레스티지) – 페이스리프트 후 리무진 모델도 기본적으로 이전과 같은 3.8 GDi와 5.0 GDi 두 가지로 운영되었습니다. 디자인 변경: 리무진 역시 신규 LED 라이트와 실내 수평형 대시보드 디자인이 반영되었고,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모니터가 앞좌석 헤드레스트 뒤쪽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등 세부 개선이 있었습니다. 기본 사양은 기존 리무진 프레스티지와 유사하나, 퍼스트 클래스 VIP 좌석 옵션 가격이 약 360만원으로 조정되고, 해당 옵션 선택 시 조수석 뒤 좌석을 항공기 1등석처럼 완전 폴딩 가능한 최고급 시트로 구성하여 쇼퍼드리븐 용도로 특화되었습니다. 리무진 전용 19인치 컨티넨탈 self-sealing 타이어가 적용되고, 전동식 파워도어 시스템 등 의전차량에 맞는 편의사양도 계속 제공되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 2013년형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에쿠스의 디자인과 실내가 크게 변경되었습니다. 전면부는 신규 반광 크롬 그릴과 LED 포그램프, 후면부는 새로운 그래픽의 LED 테일램프로 현대적인 이미지를 구현했고, 실내는 기존 좌우대칭형 대시보드에서 수평형 레이아웃으로 변경되며 아날로그 시계 및 확대된 우드/가죽 마감으로 고급감을 높였습니다. 또한 블루링크 텔레매틱스 시스템과 전자식 변속레버, 스마트 카드키 등이 새롭게 적용되고, 풀컬러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와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후측방 경보(BSD) 등이 도입되어 기술 수준을 끌어올렸습니다. 파워트레인은 종전과 같은 3.8 GDi 및 5.0 GDi 엔진을 유지하면서 엔진 출력과 토크가 일부 향상되었습니다 (3.8 모델 334마력, 5.0 모델 416마력). 트림 명칭도 현대차의 최신 명명체계에 맞추어 모던/프리미엄/익스클루시브/프레스티지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에쿠스는 대내외적으로 신차 수준의 상품성 개선을 이루어 수입 경쟁차에 대응했습니다.
2014년: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지속 판매
트림 구성: 2014년형 에쿠스는 2013년형 부분변경 모델과 동일한 트림 체계(Modern/Premium/Exclusive/Prestige)로 운영되었습니다. 디자인과 사양에서도 큰 변화는 없었고, 완성도 향상 및 일부 사양 조정에 주력했습니다.
- 주요 내용: 2014년에는 새로운 변화보다는 기존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상품성 다듬기가 이뤄졌습니다. 고객 피드백을 반영하여 뒷좌석 거울조명 개선, 내비게이션 지도 업데이트 주기 단축, 블루링크 서비스 확대 등 사용편의 개선이 있었습니다. 또한 일부 트림의 옵션 구성이 단순화되어, 익스클루시브 트림에 previously 선택옵션이던 드라이버 어시스트 패키지(ASCC+AVSM 등)가 기본 적용되는 등 기본사양 확대가 있었습니다. 3.8/5.0 엔진과 성능 지표는 전년도와 동일하며, 외장 색상 팔레트에 새로운 컬러가 추가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변경 사항: 2014년형은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안정화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디자인 변경 없이 기존 사양을 유지했으며, 일부 편의사양이 보강되고 옵션이 조정되었습니다. 에쿠스의 국내 판매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하반기에는 다음 연식변경(2015년형)을 앞두고 재고 차량 프로모션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2015년: 최후기형 에쿠스 (상품성 강화 및 단종 전 모델)
트림 구성: 2015년형 에쿠스는 2014년 11월경 출시되어 에쿠스의 마지막 연식으로 판매되었습니다. 트림 구조는 모던/프리미엄/익스클루시브/프레스티지(3.8)와 프레스티지(5.0)로 이전과 동일하지만, 전 트림에 걸쳐 일부 사양이 추가 및 개선되었습니다.
- 멀티미디어/편의사양 강화: 2015년형에서는 신형 9.2인치 디스플레이의 2세대 내비게이션과 블루링크 2.0 텔레매틱스를 전 모델에 기본 적용하였습니다 (더 고급스런 2015년형 에쿠스 - 매일경제). 이에 따라 과거 트림에 따라 옵션이던 DIS 내비게이션이 모던 트림까지 기본화되었고, 음성인식, 실시간 재난정보 수신 등 개선된 인포테인먼트 기능이 제공되었습니다. 또한 스마트 트렁크 기능이 새로 탑재되어, 스마트키 소지자가 차량 후방에 3초 이상 머물면 자동으로 트렁크가 열리는 편의성이 추가되었습니다.
- 인테리어 업그레이드: 실내 마감재로 프라임 나파 가죽이 적용되어 고급감이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시트 가죽의 촉감과 내구성을 높이고 대시보드 및 도어트림 가죽 마감 품질을 향상시켜, 기존 대비 더욱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완성했습니다. 이와 함께 신규 우드그레인 패턴과 스웨이드 헤드라이너 등 세부적인 고급 사양이 적용되었습니다.
- 익스테리어 디테일 변경: 2015년형 에쿠스는 전면부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을 버티컬(세로바) 타입 크롬 그릴로 변경하여 중후함을 강조했습니다. (이전까지는 가로바 형태) 또한 헤드램프 및 리어램프 내부 그래픽을 다듬고, 신규 디자인의 19인치 크롬 스퍼터링 휠을 적용하여 신차급의 정교한 외관 디테일 변화를 주었습니다.
- 기타 사양: 기본 탑재된 렉시콘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은 17개 스피커로 고출력 앰프 조율을 최적화했고, 후측방 경보(BSD)와 어라운드뷰 모니터(AVM)를 최상위 트림에 기본 적용하여 주행 보조 성능을 높였습니다. 파워트레인은 3.8 GDi (334마력), 5.0 GDi (430마력)로 변경 없이 유지되나, 배기가스 규제 대응으로 엔진 제어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되어 응답성과 정숙성이 향상되었습니다.
변경 사항: 2015년형 에쿠스는 에쿠스 브랜드의 피날레를 장식하는 연식변경 모델로, 고객 선호사양의 기본화와 고급감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내비게이션과 블루링크 같은 최신 멀티미디어를 모든 차량에 기본 장착하고 스마트 트렁크 등의 신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였고, 내외장 소재를 업그레이드하여 경쟁이 심화된 고급차 시장에 대응했습니다. 2015년 12월 에쿠스 후속 모델인 제네시스 EQ900(현 G90)이 출시됨에 따라, 에쿠스는 이 해를 마지막으로 국내 판매를 종료하였습니다 (현대자동차 1 페이지 | 신차가격표모음 ChaPrice).
'잡지식 정리 정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개발 : server 폴더와 client 폴더의 정체 (0) | 2025.04.20 |
---|---|
도구 vs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0) | 2025.04.20 |
Thule 루프랙 선택 가이드 (0) | 2025.04.20 |
기통수별 점화 간격과 진동/사운드 특성 (0) | 2025.04.15 |
부채와 자본이 같은 방향으로 다뤄지는 이유 (1) | 2025.04.12 |